월간 『불교문화』 2021년 3월호 발간 안내 (재)대한불교진흥원이 문화를 통한 불교 포교를 화두로 발간하는 [...]
번뇌의 진흙탕에서 수고하는 무리가 바로 여래의 씨앗 내변산 월명암 어떤 사랑은, ‘목숨을 맡기는 것’ 말고 [...]
자연에서 깨달음을 얻다 봉암사 이종호 한국과학저술인협회 회장, 공학 박사 봉암사(鳳巖寺)는 조계종 직지사(直指寺)의 말사(末寺)로 희양산 [...]
육식 절제는 붓다와 대자연에 바치는 공양이다 김규칠 대한불교진흥원 이사 육식과 관련된 문제의 중대성 먼저, [...]
선(禪)에서 말하는 자비 – 선사(禪師)의 자비를 중심으로 원제 스님 김천 수도암 수좌 남악 회양 [...]
초기 불교 경전에 나타나는 자애 임승택 경북대학교 철학과 교수 자애의 마음을 닦아야 하는 이유 [...]
자비와 사무량심 수행 – 공감과 연민, 이성과 감성 통합으로서의 자비 윤희조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교수 [...]
자비가 가져오는 자기 치유의 효과 박성현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심리학에서 자비는 주로 긍정 정서나 이타주의와 [...]
우리는 누구를 위해, 무엇을 위해 우는가? 허우성 경희대학교 명예교수 초기 불교 경전에 나오는 수많은 [...]
공과 자비 안양규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불교학부 교수 공(空)이란 무엇인가 초기 불교에서 공(空)은 무아(無我)와 관련되어 [...]
Your name:
Your email address:
Send post to email address, comma separated for multiple emails.
[fc id=’4′][/fc]
사용자명 또는 이메일 주소 *
비밀번호 *
로그인 기억하기
비밀번호를 잊어버리셨나요?
이메일 주소 *
Your personal data will be used to support your experience throughout this website, to manage access to your account, and for other purposes described in our 개인정보 보호정책.
회원가입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