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소개
제정 취지
2009년에 제정된 원효학술상(元曉學術賞)은 인문학과 사회과학 등의 분야에서 현대 사회, 문화에 대한 불교적 조명과 한국 철학의 세계화를 위해 노력하는 불교사상 연구 학자를 격려하고, 인류 문명의 창조에 주도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시상하는 상이다.
시상 분야 및 상금
· 학자 부문 저서(대상 1명) : 3,000만원
· 학자 부문 저서(특별상 약간명) : 1,500만원
· 석·박사 과정 학생 부문 논저(약간 명) : 400만원 ~ 800만원
시상 절차
역대 수상자
회차 / 년도 | 시상내역 | 수상자, 수상작 |
제1회 2010년 | 교수 부문 대상 | 김형효(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저서 <원효의 대승철학> |
강사 부문 대상 | 홍성기(아주대학교 특임교수), 저서 <불교와 분석철학 : 분석불교의 모색> | |
학생 부문 은상 | 안환기(서울대 종교학과 박사과정 학생), 논문 <유식불교 ‘법신’ 개념의 심리학적 의미 - 융의 ‘자기(self)’와 '섭대승론'의 법신 개념을 중심으로> | |
제2회 2011년 | 교수 부문 대상 우수상 | 박태원(울산대 철학과 교수), 논문 <간화선 화두간병론(話頭揀病論)과 화두 의심의 의미> |
비 전임교수 부문 우수상 | 명법 스님(서울대 강사), 저서 <선종과 송대 사대부의 예술정신> | |
학생 부문 동상 | 최성호(서울대 철학과 박사과정 학생), 논문 <담연의 수행론에서 돈(頓)· 점(漸) 개념 용례 분석 – 교판론을 중심으로> | |
제3회 2012년 | 교수 부문 대상 우수상 | 한자경(이화여대 철학과 교수), 저서 <불교 철학과 현대 윤리의 만남> |
비 전임교수 부문 대상 | 권서용(부산대 강사), 저서 <다르마키르티와 불교 인식론> | |
학생 부문 은상 | 이상엽(서울대 대학원 학생), 논문 <범망경 보살계와 유식학파 보살계의 비교 연구> | |
학생 부문 동산 | 문광 스님(국사편찬위원회 사료 연수과정 학생), 논문 <한중 선사들의 유가 중화설(中和說)에 대한 담론 비교 연구 - 감산(憨山), 지욱(智旭) 선사를 중심으로> | |
제4회 2013년 | 교수 부문 대상 우수상 | 조성택(고려대 철학과 교수), 저서 <불교와 불교학 : 불교의 역사적 이해> |
비 전임교수 부문 우수상 | 김재영(동방불교대학 교수), 저서 <초기불교의 사회적 실천> | |
김영일(동국대 BK21 연구교수), 논문 <원효의 화쟁논법 연구 – 화쟁의 실례를 중심으로> | ||
학생 부문 은상 | 송진섭(연세대 철학과 대학원 박사과정 학생), 논문 <대승불교 윤리이론이 지닌 정형적 형식에 대한 고찰 – 법성종(法性宗)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 |
제5회 2014년 | 교수 부문 대상 우수상 | 박찬국(서울대 철학과 교수), 저서 <니체와 불교> |
비 전임교수 부문 우수상 | 서광 스님(송영숙, 동국대 불교대학원 겸임교수), 저서 <치유하는 유식 읽기> | |
학생 부문 은상 | 강미자(동국대 경주캠퍼스 대학원 불교학과 박사과정 학생), 논문 <불교에서 본 정신분석(Psychoanalysis) – 無我를 중심으로> | |
학생 부문 동상 | 우동필(전남대 대학원 철학과 박사과정 학생), 논문 <십이연기에서 오온> | |
제6회 2015년 | 교수 부문 우수상 | 김종욱(동국대 불교학부 교수), 저서 <원효와 하이데거의 대화> |
비 전임교수 부문 장려상 | 박범석(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연구원), 논문 <인권 개념의 불교 교육적 쟁점> | |
석/박사과정 학생부문 은상 | 김배호(auto불교학과 박사과정), 논문 <차 명상을 통한 여실지견의 현대적 활용 – 초기불교의 육내외입처 수행을 중심으로> | |
제7회 2016회 | 교수 부문 대상 | 이재성(부산대 영문과 교수), 저서 <Postmodern Ethics, Emptiness, and Literature: Encounters between East and West(포스트 모던 윤리학, 공, 그리고 문학: 동양과 서양의 만남)> |
교수 부문 특별상 | 이도흠(한양대학교 국문학과 교수), 저서 <인류의 위기에 대한 원효와 마르크스의 대화 | |
비 전임교수 부문 대상 | 이창숙(전 동국대 강사), 저서 <불교의 여성 성불 사상> | |
석/박사과정 학생부문 은상 | 송남주(고려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논문 <事事無礙에 한 고찰 – 징관의 四法界설을 중심으로> | |
석/박사과정 학생부문 동상 | 이화순(동국대학교 불교대학원 명상심리상담학과), 논문 <내담자 親和的 명상심리 상담을 통한 破産者의 심리적 변화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 |
제8회 2017년 | 비 전임교수 부문 우수상 | 이병욱(고려대 · 동국대 강사), 저서 <불교사회사상의 이해> |
석/박사과정 학생 부문 은상 | 김태수(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과정), 논문(영어) <The Validity of a Robinsonian Interpretation of the Nāgārjuna’s Logics of Catuṣkoṭi: Comparing Prasaṅga with Hegel’s Dialectics(용수 사구 논리에 대한 로빈슨식 해석의 타당성 : 귀류논법과 헤겔 변증법의 대비를 중심으로)> | |
석/박사과정 학생 부문 동상 | 정헌 스님(중앙승가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논문 <염불선 연구 – 청화의 염불선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 |
제9회 2018년 | 비 전임교수 부문 대상 | 전현수(정신과 전문의), 저서 <불교정신치료 강의> |
석/박사과정 학생 부문 은상 | 자성 스님[동국대학교(경주) 대학원 박사과정], 논문 <'대승육정참회'에 보이는 원효의 당시 참회문화 비평> | |
정영자(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논문 <'대념처경'의 4념처관과 '요가 수뜨라'의 아슈땅가 요가 – ‘구조와 수행 원리’를 중심으로> | ||
석/박사과정 학생부문 동상 | 이지향(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논문 <원효'금강삼매경론'의 大乘觀法 연구> | |
제10회 2020년 | 학자 부문 대상 | 권오민(경상대 철학과 교수), 저서 <上座 슈리라타의 經量部 사상> |
학자 부문 특별상 | 박경준(동국대 불교학부 명예교수), 저서 <불교학의 사회화 이론과 실제> | |
석/박사과정 학생 부문 은상 | 성제 스님[동국대학교(경주) 불교학과 박사과정], 논문 <티벳불교의 쌈예논쟁에 대한 재검> (석사학위 논문) | |
조현길[동국대학교(경주) 불교학과 박사과정], 논문 <원효의 불성론 연구 – 열반종요에서 나타나는 삼론학의 영향을 중심으로> (석사학위 논문) | ||
현서 스님(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 졸업), 논문 <경한의 생애와 선사상 연구> (석사학위 논문) | ||
제11회 2021년 | 학자 부문 대상 | 정병삼(숙명여자대학교 명예교수), 저서 <한국불교사> |
학자 부문 특별상 | 김성구(이화여자대학교 명예교수), 저서 <아인슈타인의 우주적 종교와 불교> | |
윤희조(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교수), 저서 <불교심리학 연구> | ||
석/박사 과정 학생 부문 은상 | 이진화(명원 스님,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 논문 <明末 雲棲袾宏의 體究念佛論 연구> (석사학위 논문) | |
임시연(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박사과정), 논문 <법화경 신해품의 장자 궁자 비유를 통해 고찰한 불교 상담사의 길> |
제12회 2022년 | 학자 부문 대상 | 김용태(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HK 교수), 저서<조선불교사상사> |
학자 부문 특별상 | 공만식(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교수), 저서<불교음식학> | |
석/박사 과정 학생 부문 금상 | 한민수(서담 스님, 동국대학교 대학원 한문불전번역학과 박사과정), 논문<실차난타 譯 『대승기신론』 서문의 편찬 배경과 법장의 영향> | |
석/박사 과정 학생 부문 은상 | 경은정(동국대학교 대학원 선학과 박사과정), 논문<청소년을 위한 참나(眞我) 만나기 명상프로그램 적용 및 효과 연구>(박사학위 논문) | |
김건엽(홍진 스님, 서강대학교 대학원 종교학과 박사과정), 논문<상징적 죽음과 불멸의 종교적 실천 연구 - 無我 원칙의 형성화와 참회회심의 보살도를 중심으로>(박사학위 논문) | ||
엄준섭(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논문<깨달음에 대한 신비주의적 이해 비판 : 스즈키 다이세츠의 경우를 중심으로>(석사학위 논문) | ||
제13회 2023년 | 학자 부문 대상 | 박태원(울산대학교 명예교수), 저서 <원효의 통섭철학: 치유철학으로서의 독법> |
석/박사 과정 학생 부문 은상 | 송영미(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마음챙김과 자비심 기반 직무소진 예방 명상프로그램 (MCBP) 개발 및 효과>(박사학위 논문) | |
이태영(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불교에서 소리의 공능(功能)에 관한 연구>(박사학위 논문) | ||
석/박사 과정 학생 부문 동상 | 이도연(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진제의 삼성설 연구: 현장의 삼성설 해석과 대비하여>(석사학위 논문) | |
제14회 2024년 | 학자 부문 특별상 | 남동신(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교수), 저서 <원효의 발견> |
석/박사 과정 학생 부문 금상 | 박성일(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범망경』 계율의 윤리관 연구>(박사학위 논문) | |
석/박사 과정 학생 부문 은상 | 김도욱(도욱 스님)[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 <문아 원측의 『무량의경소(無量義經疏)』 연구>(박사학위 논문) | |
김시연(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미얀마 고엔카 위빠사나 명상수행법 연구>(석사학위 논문) |
COMPANY
04175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20 다보빌딩
재단법인 대한불교진흥원
20, Mapo-Daero, Mapo-Gu, Seoul 04175, Korea
KOREA BUDDHISM PROMOTION FOUNDATION
CLIENT CENTER
이메일문의 kbpf7191855@gmail.com
전화문의 82-2-719-1855
팩스 82-2-719-5052
웹사이트 www.kbpf.org
ⓒ KOREA BUDDHISM PROMOTION FOUNDATION. ALL RIGHTS RESERVED